제가 직접 만든 문제입니다. 질문 사항이나 잘못된 점에 대한 지적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시간 표현: 시간의 흐름을 언어적으로 표현한 것
1.시제: 발화시(말을 한 시점)를 기준으로 사건시(사건이 일어난 시점)가 언제인지를 나타내는 것
- 과거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는 시제
- 현재 시제: 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하는 시제
- 미래 시제: 발화시가 사건시보다 앞서는 시제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
선어말 어미 | 관형사형 어미 | 시간 부사어 | |
과거 시제 | -았/었-, -았었/었었-, -더- |
•동사 : -(으)ㄴ, -던 •형용사/서술격 조사 : -던 |
어제, 아까 등 |
현재 시제 | •동사 : -는/ㄴ- •형용사/서술격 조사 : 없음 |
•동사 : -는 •형용사/서술격 조사 : -(으)ㄴ |
오늘, 지금 등 |
미래 시제 | -겠-, -(으)리- |
-(으)ㄹ | 내일, 곧 등 |
2.동작상: 동작이 진행 혹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것
- 진행상: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냄 예) 건물이 무너지고 있다.
- 완료상: 동작이 모두 끝났음을 나타냄 예) 건물이 무너져 있다.
※높임 표현: 말하는 이를 기준으로 대상의 높고 낮음을 언어적으로 표현한 것
1.상대 높임법: 듣는 이를 높임. 종결 어미로 실현됨
구분 | 평서법 | 의문법 | 명령법 | 청유법 | 감탄법 | |
격식체 | 하십시오체 | 잡습니다 | 잡습니까? | 잡으십시오 | (잡으시지요) | - |
하오체 | 잡소/잡으오 | 잡소?/잡으오? | 잡소/잡으오 | 잡읍시다 | 잡는구려 | |
하게체 | 잡네 | 잡나?/잡는가? | 잡게 | 잡으세 | 잡는구먼 | |
해라체 | 잡는다 | 잡니?/잡(느)냐? | 잡아라/잡으렴 | 잡자 | 잡는구나 | |
비격식체 | 해요체 | 잡아요/잡지요 | 잡아요?/잡지요? | 잡아요/잡지요 | 잡아요/잡지요 | 잡아요/잡지요 |
해체 (반말) |
잡아/잡지 | 잡아?/잡지? | 잡아/잡지 | 잡아/잡지 | 잡아/잡지 |
2.주체 높임법: 문장의 주체를 높임.
- 실현 방법
① 선어말 어미 '-(으)시-'를 사용함
② 주격 조사 '-이/가' 대신 '-께서'를 사용함
③ 높임을 나타내는 특수 어휘를 사용함 (주무시다, 계시다, 잡수시다 등)
3.객체 높임법: 문장의 객체(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로 실현됨)를 높임
- 실현 방법
① 부사격 조사 '-에게' 대신 '-께'를 사용함
② 객체 높임을 나타내는 특수 어휘를 사용함(드리다, 뵈다/뵙다, 여쭈다/여쭙다, 데리다 등)
※부정 표현: 문법적 요소를 통해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
1. 부정 표현의 종류
긴 부정 | 짧은 부정 | |
의지 부정/상태 부정 | 부정의 보조 용언 '-지 아니하- / -지 않-' |
부정 부사 '안' |
능력 부정 | 부정의 보조 용언 '-지 못하-' |
부정 부사 '못' |
2.명령문과 청유문의 부정
-명령문과 청유문은 일반적인 '안' 부정이나 '못' 부정이 쓰이지 못하는 대신 '말' 부정문이 사용된다.
예) 복도에서 뛰지 말아라(명령문) / 오늘은 게으름 피우지 말자(청유문)
'문법 문제 >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문법 문제] 높임 표현, 시간 표현 (20문제) (9) | 2021.05.15 |
---|---|
[국어 문법 문제]문장의 짜임-2 (10문제) (7) | 2021.05.11 |
[국어 문법 문제]문장의 짜임(10문제) (0) | 2021.05.02 |
[국어 문법 문제] 시간 표현(10문제) (0) | 2021.04.29 |
[국어 문법 문제] 시간 표현(10문제) (2) | 2021.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