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만든 문제입니다. 잘못된 점이나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국어의 모음
1. 모음의 정의: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으며 홀로 쓰일 수 있는 모음
2. 모음의 종류
①단모음: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모음.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ㅣ
②이중 모음: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는 모음.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3. 단모음의 분류 기준
① 혀의 최고점의 앞뒤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ㅣ, ㅟ, ㅔ, ㅚ, ㅐ), 후설 모음(ㅡ, ㅜ ,ㅓ, ㅗ, ㅏ)
② 혀의 최고점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ㅣ, ㅟ, ㅡ, ㅜ), 중모음(ㅔ, ㅚ, ㅓ, ㅗ), 저모음(ㅐ, ㅏ)
③ 입술 모양에 따라: 평순 모음(ㅣ, ㅔ, ㅐ, ㅡ, ㅓ, ㅏ), 원순 모음(ㅟ, ㅚ, ㅜ, ㅗ)
※ 'ㅟ, ㅚ'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지만 원칙적으로는 단모음으로 취급함.
4.단모음 체계
5.이중 모음의 종류(단모음과 반모음이 결합한 것)
① 'ㅗ/ㅜ' 계열 이중 모음: ㅘ, ㅝ, ㅙ, ㅞ
② 'ㅣ'계열 이중 모음: ㅑ, ㅒ, ㅕ, ㅖ, ㅛ, ㅠ, ㅢ
※국어의 자음
1.자음의 정의: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 소리. 홀로 쓰일 수 없음.
2.자음의 분류 기준
(1) 조음 위치: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
(2) 조음 방법
① 성대의 울림 여부: 울림소리(비음과 유음), 안울림소리(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② 공기를 내보내는 방법: 파열음(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림), 파찰음(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통로를 좁게 열어서 공기를 내보냄), 마찰음(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좁혀서 마찰을 일으킴), 비음(공기를 코로 많이 내보냄), 유음(공기를 흘리듯이 내보냄)
③ 소리의 세기: 예사소리(별다른 특징 없이 평범하게 내는 소리), 된소리(성대에 긴장을 주어 강하게 내는 소리), 거센소리(공기를 많이 내보내어 거친 느낌이 나게 내는 소리)
'문법 문제 > 음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문법 문제] 음운의 변동 - (4) (10문제) (0) | 2021.05.04 |
---|---|
[국어 문법 문제] 음운의 변동 - (3) (10문제) (0) | 2021.05.01 |
[국어 문법 문제] 음운의 변동 - (2) (10문제) (1) | 2021.04.12 |
[국어 문법 문제]음운의 변동 -(1) (10문제) (0) | 2021.04.08 |
[국어 문법 문제]음운의 변동 (20문제) (0) | 201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