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가 일상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틀리는 맞춤법 중에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안'과 '않-'이 있습니다. 오죽하면 인터넷 상에서는 '외않되?'라는 유행어가 돌 정도이지요. 사실 이 글을 쓰는 저도 심심치 않게 틀리는 맞춤법입니다. 가장 자주 틀리는 이 맞춤법을 구별하는 방법을 최대한 친절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않-'은 '아니하-'의 줄임말입니다.

따라서 '아니하-'로 바꿔 쓸 수 있는 말은 '않-', 그렇지 않은 말은 '안'으로 써주시면 됩니다.

철수가 집에 오지 않고 있다. → 철수가 집에 오지 아니하고 있다.(○)
철수가 집에 안 왔다. → 철수가 집에 아니하 왔다(×)

 

 

 

2.형태소 상으로 보았을 때 '안'은 자립 형태소, '않-'은 의존 형태소입니다.

이 사실을 잘 활용하여 생각해보면, 생략했을 때 문장의 의미가 정반대가 되지만 문장이 성립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안'을, 생략했을 때 문장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에는 '않-'을 사용하면 됩니다. 

나는 사과를 안 먹는다 → 나는 사과를 먹는다(○)
나는 사과를 먹지 않는다 → 나는 사과를 먹지 는다(×)

이처럼 자립 형태소인 '안'은 다른 형태소에 기대지 않고 문장에서 사용되는 반면, 의존 형태소인 '않-'은 어미에 기대어 문장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않-'을 생략하면 문장에 어미만 남아버리는 이상한 형태가 됩니다. 이 방법을 이용해서도 '안'과 '않-'을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3.'안'은 부정 부사이고, '않-'은 보조 동사의 어간입니다.

'안'은 부정 부사이며 불변어에 해당하고, '않-'은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 동사의 어간이며 가변어입니다. 따라서 '안'은 언제나 '안'의 형태로 쓰이는 반면, '않-'은 '않고', '않다', '않지', '않냐'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거기에 단순히 문장의 서술어만 수식해주면 되기 때문에 다른 문법 성분을 요구하지 않는 '안'과 달리 '않-'은 보조 동사이기 때문에 앞에 연결 어미인 '-지'가 와서 '-지 않다', '-지 않고'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4.예사소리로 시작하는 말 앞에서 '안'은 'ㅎ'소리가 나지 않지만, '않-'은 'ㅎ'소리가 납니다.

홑받침인 '안'과 달리 겹받침인 '않-'은 받침에 'ㅎ'소리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뒤에 예사소리 'ㄱ, ㄷ, ㅈ'가 오는 경우에는 이 소리들과 합쳐져서 'ㅋ, ㅌ, ㅊ'로 발음됩니다. 홑받침인 부정 부사 '안'은 뒤에 오는 소리를 거센소리로 만들지 않습니다. 다음 예시를 보시죠. ([ ] 안은 발음대로 표기한 것입니다.)

않던[안턴], 않고[안코], 않지[안치]
안 된다[안 된다], 안 간다[안 간다], 안 잔다[안 잔다]

다만 '않아[아나]', '않은데[아는데]'처럼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않-'의 'ㅎ'소리도 'ㅎ'탈락 현상에 의해 발음되지 않으므로 'ㅎ'소리가 나지 않는다면 모두 '안'으로 쓰는 것은 아님을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이렇게 여러분이 자주 틀리시는 '안'과 '않-'을 구분하는 방법을 열심히 설명해보았습니다. 오히려 더 헷갈리게 만든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여러분들에게 부디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다음에 또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을 구분하는 방법을 들고 오겠습니다. 다음엔 더 쉽게 설명해드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보겠습니다. 진심이에요.

반응형
반응형

제가 직접 만든 문제입니다. 질문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단어의 품사(3) 10문제.hwp
0.09MB

※단어의 품사: 단어를 같은 성격을 지닌 것끼리 갈래 지은 것.

1.체언: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에 올 수 있음. 관형어의 꾸밈을 받고 조사와 결합하여 쓰임

 ①명사: 사물이나 개념의 이름을 나타냄

 ②대명사: 명사를 대신하여 나타냄

 ③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냄

 

2.수식언: 다른 단어를 꾸며주는 기능을 함

 ①관형사: 체언(주로 명사)을 꾸며주는 기능을 함

 ②부사: 주로 용언을 꾸며주는 기능을 함. 문장 전체, 다른 부사, 관형사를 꾸며주는 경우도 있음. 문장 안에서의 자리 이동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특성이 있음.

 

3.관계언: 조사-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말

 

4.독립언: 감탄사-다른 단어와 긴밀한 관련을 맺지 않고 쓰임. 부름, 응답, 감탄 등을 나타냄

 

5.용언: 문장의 서술어 자리에 올 수 있음. 형태가 변하여 쓰임.

 ① 동사: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냄

 ② 형용사: 상태나 성질을 나타냄

반응형
반응형

중세 국어 문법 위주로 만든 <용비어천가> 제2장, 제125장 관련 문제입니다. 참고하시고 질문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하겠습니다.

용비어천가 10문제-2.hwp
0.10MB

※중세 국어의 특징

1.음운

 - 오늘날에는 잘 쓰이지 않는 음운(ㅿ, ㆁ, ㆆ, ㆍ)이 사용됨

 - 성조를 표시하기 위한 방점을 글자의 왼쪽에 표기함

 -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려 쓰이는 모음 조화 현상이 비교적 잘 지켜짐

 - 단어의 초성에 서로 다른 자음이 어울려 쓰이는 어두 자음군이 나타남.

 - 단어 내부의 구개음화나 원순 모음화가 아직 적용되지 않음

 

2.문법 요소

 - 현대 국어와 달리 주격 조사로는 '이/ㅣ'가 사용되고 '가'는 사용되지 않음

 - 명사형 전성 어미로 '-옴/움'이 사용됨

 

3.표기

 - 주로 세로쓰기를 함

 - 받침에는 'ㄱ,ㄴ,ㄷ,ㄹ,ㅁ,ㅂ,ㅅ,ㆁ'만 적는 8종성법이 적용됨

 - 한자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에 동국정운식 표기를 활용함

 -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4.단어

 -ㄱ종성 체언이나 ㅎ종성 체언처럼 환경에 따라 형태를 바꾸는 체언이 존재함

 -현대 국어와 같은 형태의 단어가 다른 의미로 쓰이기도 함.

 

 

※용비어천가

① 특징: 조선 시대의 악장이자 서사시. 훈민정음으로 간행된 최초의 문헌이다. 외부적으로는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고, 내부적으로는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주된 내용은 태조 이성계의 선조들이 겪은 영웅적인 이야기가 중국의 고사와 유사함을 강조하여 조선 왕조의 위대함을 부각하기 위한 내용과 함께 후대 왕들에 대한 충고가 담겨 있다. 

②지문 감상 및 현대어 풀이

③<제125장>과 관련한 중국 고사

  하나라의 초대왕인 우왕은 통치를 잘하여 백성들과 신하들의 신망을 두텁게 얻은 왕이었다. 그의 손자로 왕위에 오른 제3대 태강왕은 사냥을 좋아해 할아버지인 우왕의 덕을 믿고 낙수란 곳에 사냥을 간 지 100일이 넘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이에 백성들이 모두 다른 마음을 품었고, 궁의 제후인 예가 백성을 위해서 참을 수 없다하고 돌아오는 길을 막아서 왕위를 폐하였다. 이 이야기를 통해 후대 왕들에게 <용비어천가>에 나온 이성계의 선조들이 영웅적이고 위대한 인물이고 이들의 혈통을 이어받았다고 하더라도 자기 스스로 좋은 임금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올바른 통치를 할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