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가 직접 만든 문제입니다. 궁금하신 점은 아래에 댓글로 남겨주세요~~~

문장 성분 10문제(2).hwp
0.09MB

 

 

※문장 성분

1.개념: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부분

2.문장 성분의 종류

① 주성분: 문장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② 부속 성분: 주성분을 꾸며주는 역할을 함.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관형어, 부사어.

③ 독립 성분: 다른 문장 성분과 문법적 관계를 맺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문장 성분. 독립어

3.주성분

 ①주어: 문장에 나타나는 동작, 작용, 상태, 성질의 주체. 주로 주격 조사 '-이/가', '-께서' 등이 붙어 나타남

 ②서술어: 주체의 동작, 작용, 상태, 성질을 풀이하는 부분. 동사, 형용사, 명사+서술격 조사의 형태로 나타남.

 ③목적어: 서술어의 동작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주로 목적격 조사 '-을/를'이 결합하여 나타남.

 ④보어: 서술어가 '되다' 혹은 '아니다'일 때 서술어 앞에 '-이/가'가 붙는 성분.

4.부속 성분

 ①관형어: 문장 안에서 주로 체언을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문장 성분. 

      → 문장에 의존 명사가 쓰일 경우 관형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도 함.

 ②부사어: 주로 용언이나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문장 성분. 때에 따라 관형어, 부사어 등을 꾸며주기도 함.

      → 서술어에 따라서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경우도 있음(필수적 부사어)

5.독립 성분-독립어

- 부름, 응답, 느낌 등을 나타내는 문장 성분.

반응형
반응형

제가 직접 만든 문제입니다. 질문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십시오.

서경별곡 10문제.hwp
0.10MB

※「서경별곡」 내용 정리

1.갈래: 고려 가요(고려 속요)

2.성격: 서정적, 애상적, 비유적

3.주제: 떠나는 임에 대한 원망과 임에 대한 변치 않는 마음

4.특징

① 각 연의 통일성이 다소 떨어지는 특성을 보임

② 이별을 앞둔 화자의 다양한 심정이 나타남

③ 각 행이 끝날 때마다 후렴구가 추가되어 행을 구분해줌

④ 「서경별곡」의 2연과 「정석가」의 6연이 동일한 구성을 지님 → 고려 가요의 특징이 드러남

 

 

※작품 감상

※주요 구절 풀이

 

※고려 가요

고려 가요 혹은 고려 속요라고 불리는 이 갈래는 고려 시대에 궁중 연회용으로 불린 노래들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 노래들의 출처는 궁중 연회용으로 창작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 작품 내에서도 화자나 주제 의식이 일관되지 않거나, 동일한 내용이 여러 작품에서 발견되는 등의 특징을 통해 볼 때, 당시의 민요로 불리던 노래들을 궁중 연회용으로 재편성하여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기록으로 정착되었다.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기록되어 있다. 고려 가요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형식적 특징을 보이는데, 주로 3음보의 율격을 드러내며 후렴구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후렴구로 인해 연의 구분이 나타나는 특징이 나타나는데, 우리 전통 고전 시가 중 연이 구분되는 형식을 최초로 취한 것이 고려 가요이다. 다만 민요를 재편성하여 창작된 작품의 특성상 이러한 형식상 특징이 모든 작품에 일관되게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고려 가요 중 「만전춘별사」는 4음보의 율격을 취하는 연이 있어서 시조 형식의 기원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반응형
반응형

제가 직접 만든 문제입니다. 궁금하신 점은 아래에 댓글로 남겨주세요~

문장 성분 10문제.hwp
0.10MB

 

 

※문장 성분

1.개념: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부분

2.문장 성분의 종류

① 주성분: 문장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② 부속 성분: 주성분을 꾸며주는 역할을 함.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관형어, 부사어.

③ 독립 성분: 다른 문장 성분과 문법적 관계를 맺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문장 성분. 독립어

3.주성분

 ①주어: 문장에 나타나는 동작, 작용, 상태, 성질의 주체. 주로 주격 조사 '-이/가', '-께서' 등이 붙어 나타남

 ②서술어: 주체의 동작, 작용, 상태, 성질을 풀이하는 부분. 동사, 형용사, 명사+서술격 조사의 형태로 나타남.

 ③목적어: 서술어의 동작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주로 목적격 조사 '-을/를'이 결합하여 나타남.

 ④보어: 서술어가 '되다' 혹은 '아니다'일 때 서술어 앞에 '-이/가'가 붙는 성분.

4.부속 성분

 ①관형어: 문장 안에서 주로 체언을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문장 성분. 

      → 문장에 의존 명사가 쓰일 경우 관형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도 함.

 ②부사어: 주로 용언이나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문장 성분. 때에 따라 관형어, 부사어 등을 꾸며주기도 함.

      → 서술어에 따라서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경우도 있음(필수적 부사어)

5.독립 성분-독립어

- 부름, 응답, 느낌 등을 나타내는 문장 성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