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가 직접 만든 문제입니다. 활용하시고 질문 사항이 있는 경우 댓글로 남겨주세요.

문장 성분, 문장의 짜임 15문제(1).hwp
0.09MB

 

 

 

※문장 성분

1.개념: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부분

2.문장 성분의 종류

① 주성분: 문장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② 부속 성분: 주성분을 꾸며주는 역할을 함.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관형어, 부사어.

③ 독립 성분: 다른 문장 성분과 문법적 관계를 맺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문장 성분. 독립어

3.주성분

 ①주어: 문장에 나타나는 동작, 작용, 상태, 성질의 주체. 주로 주격 조사 '-이/가', '-께서' 등이 붙어 나타남

 ②서술어: 주체의 동작, 작용, 상태, 성질을 풀이하는 부분. 동사, 형용사, 명사+서술격 조사의 형태로 나타남.

 ③목적어: 서술어의 동작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주로 목적격 조사 '-을/를'이 결합하여 나타남.

 ④보어: 서술어가 '되다' 혹은 '아니다'일 때 서술어 앞에 '-이/가'가 붙는 성분.

4.부속 성분

 ①관형어: 문장 안에서 주로 체언을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문장 성분. 

      → 문장에 의존 명사가 쓰일 경우 관형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도 함.

 ②부사어: 주로 용언이나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문장 성분. 때에 따라 관형어, 부사어 등을 꾸며주기도 함.

      → 서술어에 따라서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경우도 있음(필수적 부사어)

5.독립 성분-독립어

- 부름, 응답, 느낌 등을 나타내는 문장 성분.

 

  

1. 홑문장과 겹문장

 ①홑문장: 문장에서 주어와 서술어가 각각 한 번만 등장하는 문장 예)그는 학교에 간다.

 ②겹문장: 문장에서 주어와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등장하는 문장 예) 비가 와서, 길이 질다.

 

2.겹문장의 종류

 ①이어진문장: 두 개의 홑문장이 앞뒤로 결합한 형태의 문장 예)비가 오고, 바람이 분다.

 ②안은문장: 하나의 홑문장이 다른 문장에 문장 성분처럼 쓰이는 형태의 문장 예) 그가 읽던 책이 뭐였을까?

 

3.이어진문장의 종류

 ①대등하게 이어진문장: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의미가 서로 대등한 문장 예)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②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 앞 문장의 의미가 뒤 문장에 종속되는 문장 예) 늦잠을 자서, 버스를 놓쳤다.

 

4.안은문장의 종류

 ①명사절을 안은문장: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가 결합하여 만들어짐. 안긴 문장이 명사같은 역할을 함

                             예)그가 범인임이 밝혀졌다.

 ②관형사절을 안은문장: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으)ㄹ', '-던'이 결합하여 만들어짐. 안긴 문장이 문장 안에서 체언을 꾸며주는 역할을 함.              예) 내가 살던 동네가 많이 변했다.

 ③부사절을 안은문장: 부사형 어미 '-게', '-도록', 부사 파생 접미사 '-이' 등이 결합하여 만들어짐. 안긴 문장이 문장에서 서술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함.             예) 햇살이 눈이 부시게 쏟아졌다.

 ④서술절을 안은문장: '주어+주어+서술어'의 형태로 나타남. 안긴 문장이 문장 전체에서 서술어 역할을 함. 예) 코끼리가 코가 길다.

 ⑤인용절을 안은문장: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문장 안에 인용할 때 쓰임. 직접 인용(큰따옴표, 인용 부사격 조사 '-라고')과 간접 인용(인용 부사격 조사 '-고')으로 구분됨.      예) 아침에 어머니께서 "학교 끝나면 바로 집에 와라."라고 말씀하셨다.

 

 

 

 

반응형
반응형

제가 직접 만든 문제입니다. 자유롭게 사용하시고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질문 남겨 주세요.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1) - 10문제.hwp
0.12MB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작품 설명

1. 갈래: 현대 시, 자유시, 서정시

2. 성격: 반성적, 고백적, 의지적

3. 주제: 지나온 삶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삶에 대한 다짐

4. 특징 

① 편지의 형식을 빌어 현재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과 화자의 내면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② 쉼표를 자주 사용하여 화자의 내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③ 객관적 상관물을 통해 화자가 살고자 하는 새로운 삶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작품 감상

※중요 시어 및 시구 풀이

① 어느 사이에 나는~거리 끝에 헤메이었다.: 가족과 떨어져 지내며 괴로운 화자의 현재 처지를 드러냄.

②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 같이 생각하며: 화자가 자신 한 몸조차 건사하기 어려운 처지에 있음.

③ 딜옹배기, 북덕불: 향토적 소재

④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쌔김질하는 것이었다: 무기력하게 살면서 지난 삶을 되돌아보는 화자의 모습.

⑤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화자가 자신의 지난 삶을 돌아보고 자괴감에 빠짐

⑥ 그러나 잠시 뒤에 나는 고개를 들어: 새롭게 삶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화자의 모습이 나타남

⑦ 이것들보다 더 크고 높은 것: 화자에게 주어진 운명, 운명론적 태도.

⑧ 내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자기 성찰을 통해 정화되는 화자의 내면을 나타냄

⑨ 갈매나무: 눈을 맞고 서 있는 나무. 시련과 고난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새로운 삶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는 객관적 상관물

 

 

※작가 소개: 백석

  백석은 1912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났다. 1934년 신문에 산문을 기고한 것을 시작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는 『사슴』이 있으며, 100부만을 자비로 출간하였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윤동주가 백석의 시집 『사슴』을 갖고 싶었으나 100부 한정이어서 갖지 못했기 때문에 손으로 직접 옮겨 적어서 읽었다고 전해진다. 광복 이후에는 38선 이북 지역에서 생활을 하였으며, 그대로 북한에서 살다 1996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월북 작가라는 이유로 한동안 교육 과정에서 다뤄지거나 연구되는 것이 금지되었으나 1988년 월북 작가의 작품에 대한 연구가 가능해지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백석의 작품은 감각적인 시어를 통하여 고향에 대한 그리움, 공동체에 대한 지향 의식을 드러낸 작품이 많다. <국수>, <여우난곬족>, <모닥불> 등의 작품에서 이러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제가 직접 만든 문제입니다. 문제와 관련하여 질문 사항이 있으신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세요!

음운의 체계-10문제(3).hwp
0.08MB

※국어의 모음

1. 모음의 정의: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으며 홀로 쓰일 수 있는 모음

2. 모음의 종류

 ①단모음: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모음.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ㅣ 

 ②이중 모음: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는 모음.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3. 단모음의 분류 기준

 ① 혀의 최고점의 앞뒤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ㅣ, ㅟ, ㅔ, ㅚ, ㅐ), 후설 모음(ㅡ, ㅜ ,ㅓ, ㅗ, ㅏ)

 ② 혀의 최고점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ㅣ, ㅟ, ㅡ, ㅜ), 중모음(ㅔ, ㅚ, ㅓ, ㅗ), 저모음(ㅐ, ㅏ)

 ③ 입술 모양에 따라: 평순 모음(ㅣ, ㅔ, ㅐ, ㅡ, ㅓ, ㅏ), 원순 모음(ㅟ, ㅚ, ㅜ, ㅗ)

   'ㅟ, ㅚ'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지만 원칙적으로는 단모음으로 취급함.

4.단모음 체계

5.이중 모음의 종류(단모음과 반모음이 결합한 것)

 ① 'ㅗ/ㅜ' 계열 이중 모음: ㅘ, ㅝ, ㅙ, ㅞ

 ② 'ㅣ'계열 이중 모음: ㅑ, ㅒ, ㅕ, ㅖ, ㅛ, ㅠ, ㅢ 

 

 

※국어의 자음

1.자음의 정의: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 소리. 홀로 쓰일 수 없음.

2.자음의 분류 기준

 (1) 조음 위치: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

 (2) 조음 방법

  ① 성대의 울림 여부: 울림소리(비음과 유음), 안울림소리(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② 공기를 내보내는 방법: 파열음(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림), 파찰음(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통로를 좁게 열어서 공기를 내보냄), 마찰음(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좁혀서 마찰을 일으킴), 비음(공기를 코로 많이 내보냄), 유음(공기를 흘리듯이 내보냄)

  ③ 소리의 세기: 예사소리(별다른 특징 없이 평범하게 내는 소리), 된소리(성대에 긴장을 주어 강하게 내는 소리), 거센소리(공기를 많이 내보내어 거친 느낌이 나게 내는 소리)

 

반응형

+ Recent posts